최근 들어 부쩍 흡연자들이 설 공간이 줄어들고 있다.
TV에서 흔히 보이던 흡연 장면이 대폭 줄었고 특히 흉기는 그대로 방송하더라도 담배는 모자이크 처리하는 세심한(?) 화면 편집도 자주 눈에 띈다.
흡연이 주원인인 폐암은 췌장암에 이어 생존율이 두 번째로 낮은 매우 위험한 암이다. 폐에는 신경이 없기 때문에 폐암이 생겨도 통증을 느끼지 못하므로 병이 많이 진행된 후에야 병원을 방문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기존의 흉부 X선 진단법으로 조기 진단이 어려워 생존율이 낮을 수밖에 없었다.
최근 보건복지부가 폐암을 조기 진단해 폐암 생존율을 개선시킨다는 목표를 세우고 저선량 흉부 CT를 포함한 국가암검진의 시범사업을 서두르고 있다.
시범사업의 대상으로 담배를 1갑 이상 30년 이상 피운 55~74세인자로 흡연 중이거나 금연했어도 그 기간이 15년이 지나지 않은 사람, 가족 중에 폐암 환자가 있거나 유방암 등의 암을 앓은 여성, 비흡연자라도 간접흡연과 석면·라돈·카드뮴 등에 자주 노출된 사람 등의 고위험군을 먼저 적용했다.
또 이들에게 년 1회 저선량 흉부 CT를 촬영하고 병변이 발견된 경우에는 추가검사를 시행하는 것을 그 내용으로 한다.
최근 방사선 노출에 대한 사회적 논란이 뜨겁다. 특히 CT촬영에 대해서는 비록 진단적 목적의 검사이지만 일정량의 방사선 노출을 피할 수 없는 특성 때문에 거부감을 표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이러한 과거 CT 촬영의 단점을 보완해 검진용 검사로 개발된 것이 저선량 흉부 CT이다. 기존 흉부 CT에 비해 방사선량이 현격히 감소돼 10분의 1 정도에 불과하며 조영제를 사용하지 않고 검사하는 장점이 있다.
방사선량을 줄이면 상대적으로 안전하지만 영상에 잡음이 증가하고 정밀도가 떨어지지만 최근 영상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방사선량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기존 CT 촬영과 비슷한 수준의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됐다.
흉부영상 전문가들은 “저선량 흉부 CT가 종양 같은 결절을 발견하는 데는 무리가 없으며, 고위험자의 경우 1년에 한 번씩 저선량 CT로 검사하면 폐암을 일찍 찾아내 치료에 효과적”이라고 설명한다.
폐암은 조기 발견하지 못해 사망률이 높았으나 저선량 흉부 CT로 정기 검진할 경우 조기 발견이 가능해지므로 사망률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폐암은 사망자가 가장 많은 암이며 그 원인은 초기에 발견이 어려워 진단되는 시기가 늦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저선량 흉부 CT가 폐암 조기발견 및 생존율 개선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고돼 국가에서도 6대암 검진사업에 포함시키려고 한다.
물론 금연이 폐암의 위험도를 낮추는데 최우선이지만 금연이 힘들거나 비흡연자라도 다른 여러 가지 고위험군에 해당한다면 저선량 흉부 CT를 검진으로 적극 활용할 것을 권한다. 매년 저선량 흉부 CT 검진을 하는 것이 폐암 조기진단의 첩경임을 꼭 기억하자.
이동률 기자 leedr@idaegu.com